Qfinder 용어 상세 보기
틱증후군 [Tic disorder]

무의식적으로 신체의 일부를 경련하듯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병.
틱 증후근의 종류
틱중에는 눈을 깜박거리거나 어깨를 으쓱거리는 '운동성 틱'이 먼저 일어난 후 만성화 되면 이상한 소리를 내는 '음성 틱'으로 발전한다. 음성틱은 가래나 기침소리, 킁킁거리거나 뭔가를 빠는 소리 등을 내는 단순형과 전혀 관계없는 특정 단어나 문장을 자주 내뱉는 복합형으로 구분된다.

틱은 주로 6세 전후의 아이들에서 발병한다. 특히 남아가 틱에 걸릴 확률이 여아보다 3배이상 높다. 틱 증상은 처음엔 자기 의지로 조절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이상한 행동과 욕설을 내뱉는 '뚜레장애'로 발전한다.

특히 주의력과 집중력이 떨어져 공부를 못하고 강박감등 정신적 장애를 동반하여 주변에서 '왕따'가 되는 경우가 흔해 주의깊게 치료하여야 한다.

틱 증후근의 원인및 진단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자폐적인 성격과 유전적 기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을 뿐이다. 실제로 부모중 특히 아버지가 어릴적 틱에 걸렸다면 아들이 틱 증상을 보일 확률이 75%에 달한다고 한다.

또 운동을 관할하는 뇌의 기저핵 부분이 성숙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세한 운동을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난다는 분석도 있다. 어렸을 때 틱 증상을 보이던 아이중 70%가 뇌가 성숙되는 중학생이 되면 증상이 자연스럽게 없어진다는 임상 결과가 이를 뒷받침 한다.

전문의들은 먼저 아이의 증세를 파악하는 현상학적 진단을 한다. 또 아이가 신발을 가지런히 놓는다던지 옷의 목부분에 붙어있는 상표를 떼내는등 강박감에 의한 행동을 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

틱 증후근의 치료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이를 제거하는 치료는 거의 불가능하다. 증상을 완화시켜 스스로 억제할 수 있는 단계까지 발전 시키는 것이 치료의 목표다. 가벼운 운동성 틱의 경우 1년 정도 약물 치료를 하면 70%정도 증세가 호전된다.

주로 사용되는 약물은 할로페리돌이나 피모자이드 등이다. 틱으로 인하여 집중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메칠페니데이트 등이 사용되고, 강박증에는 프로작 등이 처방된다. 약물치료와 함께 정신치료도 병행한다.
COPYRIGHT ⓒ 2006 (주) 지식을 다함께 ALL RIGHTS RESERVED.